점자 보도블록 위 주차금지 캠페인 제안 간담회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 천안시청,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와 간담회를 가지다.
점자 보도블록 위 주차금지 캠페인 제안 간담회
일시 : 2023. 2. 28.(화) 오전 10:30~12:00
장소 : 천안시청 7층 중회의실
참석자 : 천안시청 건설도로과 자전거문화팀,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 김희재 시민>, 충남사회혁신센터, 천안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난 2월 28일, 공유킥보드 주차 문제에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고, 문제해결에 동참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천안시청 7층 중회의실에서 점자보도블록 주차금지 캠페인 제안 간담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점자보도블록 위 공유킥보드 주차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 김희재 시민>과 천안시청 건설도로과 자전거 문화팀,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 충남사회혁신센터, 천안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한자리에 모였는데요, 충남사회혁신센터에서는 캠페인을 통해 해당 문제가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는 점자 보도블록 위 주차금지 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개선해보겠다는 책임감으로, 천안시청은 개발된 캠페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실제 사업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기 위해 이 자리에 참석하였습니다.

▲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캠페인 스티커 (좌) / 행잉메시지(우)
간담회 일정으로는 먼저, 충남사회혁신센터 참여혁신팀 강정진 팀장이 보통의 혁신가 사업 및 안전거리 팀의 캠페인을 소개하였습니다. 이어서는 안전거리 팀 김희재 시민의 발제로, 그동안의 현장 모니터링 자료들을 공유하고, 캠페인 진행 중 애로사항을 이야기하였습니다. 발제 이후, 참여자 질의응답과 캠페인 스티커 활용방안 등 함께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공유 킥보드 업체 관계자들은 해당 문제에 깊이 고민하고 있기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싶다고 전했으며, 천안시청에서는 간담회를 기점으로 사업 확산이나 제도화까지의 과정들을 적극 추진하고자 검토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보통의 혁신가에서 시작한 캠페인이 이날의 간담회 자리를 만들어낸 것처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지역에 확산되고, 시민들의 목소리가 사업이나 제도적으로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점자 보도블록 위 주차금지 캠페인 제안 간담회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 천안시청,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와 간담회를 가지다.
지난 2월 28일, 공유킥보드 주차 문제에 시민들과 함께 공감하고, 문제해결에 동참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천안시청 7층 중회의실에서 점자보도블록 주차금지 캠페인 제안 간담회가 진행되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점자보도블록 위 공유킥보드 주차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 김희재 시민>과 천안시청 건설도로과 자전거 문화팀,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 충남사회혁신센터, 천안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한자리에 모였는데요, 충남사회혁신센터에서는 캠페인을 통해 해당 문제가 개선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공유킥보드 및 자전거 업체는 점자 보도블록 위 주차금지 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개선해보겠다는 책임감으로, 천안시청은 개발된 캠페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실제 사업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기 위해 이 자리에 참석하였습니다.
▲ 보통의 혁신가 <안전거리 팀> 캠페인 스티커 (좌) / 행잉메시지(우)
간담회 일정으로는 먼저, 충남사회혁신센터 참여혁신팀 강정진 팀장이 보통의 혁신가 사업 및 안전거리 팀의 캠페인을 소개하였습니다. 이어서는 안전거리 팀 김희재 시민의 발제로, 그동안의 현장 모니터링 자료들을 공유하고, 캠페인 진행 중 애로사항을 이야기하였습니다. 발제 이후, 참여자 질의응답과 캠페인 스티커 활용방안 등 함께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공유 킥보드 업체 관계자들은 해당 문제에 깊이 고민하고 있기에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싶다고 전했으며, 천안시청에서는 간담회를 기점으로 사업 확산이나 제도화까지의 과정들을 적극 추진하고자 검토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보통의 혁신가에서 시작한 캠페인이 이날의 간담회 자리를 만들어낸 것처럼,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지역에 확산되고, 시민들의 목소리가 사업이나 제도적으로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