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 청년이 살 수 있는
‘작은 집’이 있다면

“집에 사람을 맞춘다는 건 말이 안 되는구나”
청년들이 모여서 자신들이 원하는 집을 이야기한다. 각자가 꿈꾸는 설계도면을 작성했다. 개인의 욕구를 담아낸 설계도면이 모아지면 표준 설계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기대는 산산이 부서졌다. 사람마다 사는 모양새가 다르듯, 집 모양새도 모두 제각각이었다. 집에 사람을 맞춘다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을 리빙랩을 통해 확실히 알게 되었다. 3차, 4차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어느 정도 설계도면이 완성되었다. 설계도면과 모형을 평수 별로 해서 3채의 모형이 나왔다. 전시회를 하고, 언론에 적극적으로 알렸다. 언론을 통해서 귀촌 청년에 대한 정책 제안도 할 계획이다. 건축비용을 효율화하기 위해 공동체 주택 유형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농촌에 청년이 살 수 있는 ‘작은 집’이 있다면
실행팀 : 산림살림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거주할 집을 찾지 못하는 귀촌 청년들
- 농촌 청년을 위한 주거 모델 모색
◇ 주요 실험 내용
1) ‘내게 맞는 집’ 워크숍
- 농촌 청년들의 주거 고민 공유
- 마을의 작은집 6채 견학
- 참여자 각자의 원하는 집 상상하기
2) ‘내게 맞는 집’ 설계 용역
- 6평, 12평, 14평형 등 3가지 모델 설계
- 건축사 설계도 검토 및 피드백
3) ‘염치 불구하고 그려봤습니다’ 전시회
- 홍성군 청년공유 카페에서 농촌청년 주거모델 설계도 전시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주도 생활실험 리빙랩!
여러분의 도전을 충남사회혁신센터가 응원합니다.
농촌에 청년이 살 수 있는
‘작은 집’이 있다면
“집에 사람을 맞춘다는 건 말이 안 되는구나”
청년들이 모여서 자신들이 원하는 집을 이야기한다. 각자가 꿈꾸는 설계도면을 작성했다. 개인의 욕구를 담아낸 설계도면이 모아지면 표준 설계도면을 도출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기대는 산산이 부서졌다. 사람마다 사는 모양새가 다르듯, 집 모양새도 모두 제각각이었다. 집에 사람을 맞춘다는 건 말이 안 된다는 것을 리빙랩을 통해 확실히 알게 되었다. 3차, 4차 워크숍을 진행하면서 어느 정도 설계도면이 완성되었다. 설계도면과 모형을 평수 별로 해서 3채의 모형이 나왔다. 전시회를 하고, 언론에 적극적으로 알렸다. 언론을 통해서 귀촌 청년에 대한 정책 제안도 할 계획이다. 건축비용을 효율화하기 위해 공동체 주택 유형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거주할 집을 찾지 못하는 귀촌 청년들
- 농촌 청년을 위한 주거 모델 모색
◇ 주요 실험 내용
1) ‘내게 맞는 집’ 워크숍
- 농촌 청년들의 주거 고민 공유
- 마을의 작은집 6채 견학
- 참여자 각자의 원하는 집 상상하기
2) ‘내게 맞는 집’ 설계 용역
- 6평, 12평, 14평형 등 3가지 모델 설계
- 건축사 설계도 검토 및 피드백
3) ‘염치 불구하고 그려봤습니다’ 전시회
- 홍성군 청년공유 카페에서 농촌청년 주거모델 설계도 전시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주도 생활실험 리빙랩!
여러분의 도전을 충남사회혁신센터가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