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한 곳에 모아보자!

이동약자들에게 선택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동보조기기도 자동차처럼 손쉽게 수리업체 정보를 찾아보고 서비스를 받으면 기존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플랫폼 구축을 시도했다. 이동약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비교견적, 긴급 출동에 이르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관련 정보를 한 곳에 모으는 정도로 마무리됐다. 리빙랩 실험을 통해 이동약자들의 정확한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당사자 스스로 이동보조기기를 수리하고 싶다는 의견을 반영해 이동보조기기 관리 매뉴얼 영상을 추가로 제작했다.
이동약자를 위한 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플랫폼 구축 실험
실행팀 : 나사렛대 프로젝트 팀 <수리GO>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충남 내 이동보조기기 수리 시스템의 불편함
- 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관련 정보 부재
◇ 주요 실험 내용
1) 시민참여
- 정량조사 : 장애인·노인 등 이동약자 30명을 대상 으로 수리서비스 이용 시 문제점 등 현황 파악 및 플랫폼 구축 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
- 정성조사 : 이동보조기기 사용자, 수리서비스 공 급업체, 전문가 등 그룹별 총 12명을 대상으로 플 랫폼 구축에 따른 의견 수렴 병행. 플랫폼 구축 이 후 사용성 평가 실시
2)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이동보조기기 수리업체 정보 구축 및 웹페이지 제작
- 수리요청과 비교견적, 긴급출동 서비스로 이어지 는 플랫폼 구축 시도
3) 홍보활동
- 플랫폼 홍보, 웹페이지 이용 방법 등 카드뉴스 제작
- 이동보조기기 수리 매뉴얼 홍보영상 및 리플릿 제작
장애아동도 함께 어울려 노는
놀이터

동네 놀이터를 ‘무장애 통합놀이터’로 바꾸자
천안시에 소재한 공공공용 놀이터 120여 곳을 밤낮으로 조사해 아이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주변 시설들을 평가했다. 놀이터는 저 멀리 특별한 곳이 아닌 아이들이 언제든 갈 수 있는, 집과 가까운 곳이어야 한다. 별도 공간을 확보해서 ‘무장애 통합 놀이터’를 구축하기 보다는 생활 주변 가까이에 존재하는 놀이터를 ‘도심형 무장애 통합 놀이터’로 변형 또는 신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관련 협회 및 관계자, 부모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으면서 도심형 통합놀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지는 계기가 됐다. 특히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들도 함께 놀 수 있는 통합놀이터를 원하며, 장애아동들도 그물타기, 암벽 오르기 등 모험을 즐기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무장애 통합놀이터 구축 실험
실행팀 : 나사렛대학교 산학협력단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장애아동이 거의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 무장애 놀 이터의 현실
- 천안시 무장애 통합놀이터 기준 평가 및 지도 부재
- 장애아동 학부모 등 당사자 그룹 의견이 미반영
- 도심형 무장애 통합놀이터 중요성 인식 부재
◇ 주요 실험 내용
1) 공공공용 놀이터 방문 조사 및 평가 진행
- 천안시 121개 공공 놀이터를 탐방하며 평가지표 개발
2) 도심형 통합놀이터 구상
- 3D 컨셉 확정
- 유니버셜디자인를 이해하고 장애아동들의 놀이 특성 반영
- 장애아동 부모들이 보는 통합놀이터의 방향 및 개 선점 청취
3) 놀이터 정보지도 ‘우리노리맵’ 개발
4) 도심형 통합놀이터 ‘라온새나’ 모형제작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주도 생활실험 리빙랩!
여러분의 도전을 충남사회혁신센터가 응원합니다.
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한 곳에 모아보자!
이동약자들에게 선택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동보조기기도 자동차처럼 손쉽게 수리업체 정보를 찾아보고 서비스를 받으면 기존의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플랫폼 구축을 시도했다. 이동약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비교견적, 긴급 출동에 이르는 플랫폼을 구축하고자 했으나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관련 정보를 한 곳에 모으는 정도로 마무리됐다. 리빙랩 실험을 통해 이동약자들의 정확한 니즈를 파악할 수 있었다. 당사자 스스로 이동보조기기를 수리하고 싶다는 의견을 반영해 이동보조기기 관리 매뉴얼 영상을 추가로 제작했다.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충남 내 이동보조기기 수리 시스템의 불편함
- 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관련 정보 부재
◇ 주요 실험 내용
1) 시민참여
- 정량조사 : 장애인·노인 등 이동약자 30명을 대상 으로 수리서비스 이용 시 문제점 등 현황 파악 및 플랫폼 구축 방향에 대한 의견 수렴
- 정성조사 : 이동보조기기 사용자, 수리서비스 공 급업체, 전문가 등 그룹별 총 12명을 대상으로 플 랫폼 구축에 따른 의견 수렴 병행. 플랫폼 구축 이 후 사용성 평가 실시
2) 온라인 플랫폼 구축
- 이동보조기기 수리업체 정보 구축 및 웹페이지 제작
- 수리요청과 비교견적, 긴급출동 서비스로 이어지 는 플랫폼 구축 시도
3) 홍보활동
- 플랫폼 홍보, 웹페이지 이용 방법 등 카드뉴스 제작
- 이동보조기기 수리 매뉴얼 홍보영상 및 리플릿 제작
장애아동도 함께 어울려 노는
놀이터
동네 놀이터를 ‘무장애 통합놀이터’로 바꾸자
천안시에 소재한 공공공용 놀이터 120여 곳을 밤낮으로 조사해 아이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주변 시설들을 평가했다. 놀이터는 저 멀리 특별한 곳이 아닌 아이들이 언제든 갈 수 있는, 집과 가까운 곳이어야 한다. 별도 공간을 확보해서 ‘무장애 통합 놀이터’를 구축하기 보다는 생활 주변 가까이에 존재하는 놀이터를 ‘도심형 무장애 통합 놀이터’로 변형 또는 신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관련 협회 및 관계자, 부모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으면서 도심형 통합놀이터의 중요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가지는 계기가 됐다. 특히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들도 함께 놀 수 있는 통합놀이터를 원하며, 장애아동들도 그물타기, 암벽 오르기 등 모험을 즐기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해결하고자 한 지역문제
- 장애아동이 거의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 무장애 놀 이터의 현실
- 천안시 무장애 통합놀이터 기준 평가 및 지도 부재
- 장애아동 학부모 등 당사자 그룹 의견이 미반영
- 도심형 무장애 통합놀이터 중요성 인식 부재
◇ 주요 실험 내용
1) 공공공용 놀이터 방문 조사 및 평가 진행
- 천안시 121개 공공 놀이터를 탐방하며 평가지표 개발
2) 도심형 통합놀이터 구상
- 3D 컨셉 확정
- 유니버셜디자인를 이해하고 장애아동들의 놀이 특성 반영
- 장애아동 부모들이 보는 통합놀이터의 방향 및 개 선점 청취
3) 놀이터 정보지도 ‘우리노리맵’ 개발
4) 도심형 통합놀이터 ‘라온새나’ 모형제작
지역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주민주도 생활실험 리빙랩!
여러분의 도전을 충남사회혁신센터가 응원합니다.